We explore the essence of materials and pursue the value of simplicity in every creation, with a fluid sensibility. Please get in touch, don't hesitate to reach out: contact@simonecho.com ...For more information?

작가의 글

작가의 글 이번 전시는 금속 가구 위에 색 옻칠을 매개로 진행한 실험적 과정을 다룬다. 단순히 표면을 덮는 장식적 수단이 아니라, 겹겹이 쌓인 옻칠을 연마하여 드러내는 마연(磨硏)˚ 기법을 통해 우연적으로 발생하는 층의 기하학적 패턴을 탐구하고자 했다. 주재료인 옻칠은 본질적으로 매우 유기적인 재료다.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만나야만 단단히 굳어 건조가 시작된다. 이처럼 환경 조건과 재료의 특성은 과정 전체에 깊이 개입하며, 최종 형상은 언제나 예측할 수 없다. 이러한 불확실성과 개입성이라는 복잡한 우연성이 내가 옻칠을 선택한 중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작업 과정은 단순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집요하다. 칠하기,건조, 연마의 순환이 끝없이 반복된다. 칠이 두껍게 뭉치거나 고르게 펴지지 않으면 겉마름 현상이 생기고, 이는 곧바로 형태 변형으로 이어진다. 표면이 안정적으로 다음 단계를 받아낼 수 있는 상태가 되기 전까지는 기본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표면이 단단하게 평을 유지하고 안정화가 이뤄져야 비로소 다음 단계 로 넘어갈 수 있으며, 그 이후부터가 오히려 본격적인 실험의 시작이다. 색 옻칠은 시간과 긴밀하게 맞물려 있다. 칠을 올린 뒤 곧바로 건조장에 들어갈 수 없으며, 하루 정도는 먼지와 빛이 차단된 공 간에서 1차 건조 과정을 거친 후에야 습도가 높은 건조장에 들어간다. 이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하며 칠과 건조, 연마가 차곡차곡 쌓인다. 연마는 거친 사포에서 시작해 점차 고운 사포로 올라가며, 이전의 흔적을 지우는 동시에 새로운 흔적을 만든다. 이 과정에서 숨겨진 아래층이 드러나며, 의도와 우연이 맞물려 형상이 형성된다. 사포의 결, 손의 압력, 밀어내는 방향과 속도 같은 미세한 요소들까지 결과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색 옻칠의 발현은 환경과 시간에 크게 좌우된다. 옻은 공기와 닿는 순간부터 습기와 반응하며 색이 달라지기 시작한다. 건조 후에는 처음 올린 색과 전혀 다른 색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모든 과정을 마무리한 뒤에는 ‘색을 피우는 과정’이 필요하다. 햇빛의 자외선이 옻칠 성분과 반응해 투명도를 높이고, 안료의 색은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 층마다 다른 두께는 마연을 거치며 깊이감 있는 색조를 만들고, 이는 현대적 재료로는 구현하기 어려운 복잡한 시각 효과를 보여준다. 이 작업은 또한 현대적 재료인 금속 가구와 전통적 기법인 옻칠의 결합을 다룬다. 금속의 무기성과 옻칠의 유기성이 만나는 과정에서 상반된 속성들이 충돌하며 새로운 균형을 형성한다. 날카로움과 부드러움, 직선과 곡선, 건조함과 습함 같은 상반된 조건이 한 작업 안 에서 공존하며, 그 긴장 속에서 새로운 형상과 감각이 만들어진다. 나에게 이 작업은 단순히 가구 제작을 넘어선다. 금속이라는 구조 적 토대와 옻칠이라는 유기적 재료가 만나는 순간, 가구는 기능적 역할을 넘어 조형적 오브제로 확장된다. 이는 공간 디자인적 사고와 조형적 탐구가 교차하는 지점이며, 디자인·예술·공예의 경계를 오가는 실험이기도 하다. 이 실험 자체가 작업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가 진다. 완성된 결과물은 표면에 드러나는 형상만이 아니라, 그 안에 축적된 과정과 시간, 환경과 재료의 개입이 함께 담겨 있다. 관람자는 단순 히 하나의 패턴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쌓인 과정과 시간의 층위를 함께 경험하게 된다. 쉽게 얻을 수 없는 깊고 진한 우연의 과정 과도 마주하게 된다. 결국 이번 전시는 시간과 환경, 재료의 특성, 그리고 우연성이 모여 하나의 형상을 이루는 과정을 관찰하고 기록한 실험의 결과물이다. 이는 단순한 완결이 아니라, 앞으로도 이어질 재료와 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의 출발점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옻칠은 빛을 받으며 변화를 계속한다. 전시는 끝없이 이어지는 과정 속에 놓여 있다. 조남인, 25 09 ° 주로 돌, 보석, 유리 등 단단한 고체를 긁고 문질러 표면을 반질반질 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 Artist’s Statement This exhibition addresses an experimental process conducted on metal furniture using color lacquer. Rather than employing lacquer simply as a decorative finish to cover surfaces, the work explores the polishing technique of Mayeon(磨硏)°, in which multiple layers of lacquer are ground down to reveal geometric patterns that emerge by chance. The main material, lacquer, is inherently organic. It only begins to harden and cure under the right temperature and humidity.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aterial properties are deeply involved in the entire process, and the final form remains unpredictable. This uncertainty and intervention (this complex element of chance) was a crucial reason I chose lacquer as the primary medium. The working process is deceptively simple yet persistently demanding. The cycle of coating, drying, and polishing is repeated endlessly. If the lacquer is applied too thickly or unevenly, surface cracking occurs, which directly leads to deformation. Until the surface is stable enough to accept the next layer, the basic steps must be repeated. Only when the surface achieves firmness and equilibrium can the process move forward, and from that point the experiment truly begins. Color lacquer unfolds in close relation to time. After coating, the work cannot be placed directly in the drying chamber. It must first rest for about a day in a controlled environment shielded from dust and light. Only then is it moved into a high-humidity chamber to cure fully. This process isrepeated multiple times, layering cycles of coating, drying, and polishing. Polishing itself is also gradual beginning with coarse sandpaper and moving to finer grades, erasing previous traces while creating new ones. Hidden layers begin to surface, and form arises through the intersection of intention and chance. Every subtle factor grain of the sandpaper, pressure of the hand, direction and speed of movement directly shapes the outcome. The manifestation of color lacquer is largely determined by environment and time. From the moment lacquer meets air, it reacts with humidity and its color begins to shift. After curing, the result often appears in tones quite different from the initial application. Once all stages are complete, the work undergoes a process known as “bringing out the color.” Exposure to sunlight and ultraviolet rays reacts with the components of lacquer, increasing transparency and intensifying pigments. Variations in layer thickness revealed through Mayeon polishing produce depth and richness of tone that modern industrial materials cannot easily replicate. This work also investigates the combination of modern material (metal furniture) and the traditional technique of lacquerware. In this convergence, inorganic and organic qualities collide to form new balance. Sharpness and softness, line and curve, dryness and moisture contrasting conditions coexist within a single piece, and from this tension, new forms and sensibilities arise. For me, this practice goes beyond simple furniture-making. When the structural base of metal meets the organic medium of lacquer, furniture extends beyond functionality to become a sculptural object. It is a point where spatial design thinking intersects with formal inquiry, and an experiment that traverses the boundaries of design, art, and craft. The experiment itself holds value as a work. The completed pieces reveal not only the visible forms on the surface, but also the accumulated layers of process and time, the traces of environment, and the interventions of material. Viewers encounter not just a single pattern, but the stratified processes and durations embedded within it an encounter with deep, irreproducible moments of chance. Ultimately, this exhibition presents the results of observing and recording how time, environment, material properties, and chance converge into form. It is not a conclusion but a point of departure for ongoing investigations into material and process. Even now, the lacquer continues to change as it meets light. The exhibition itself remains within an unfolding process. simone cho, 25 09 ° A polishing method that smooths and refines hard surfaces such as stone, glass, or metal.